어깨·상지관절

팔꿈치관절
- 무거운 물건을 다루는 직업이나 주부, 운동 선수 등이 손을 많이 쓰는 경우에
통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.
- 통증때문에 관절을 쓰지 않게 될 경우 다른 부위의 관절보다도 아주 쉽게 굳어질 수 있습니다.
팔꿈치 외상과염(테니스 엘보)
팔꿈치 관절 바깥쪽에 생기는 통증으로, 나이가 들면서 생기는
근육 시작 부위의 퇴행성 변화
- 주로 40대 초반에서 잘 발생하며, 손목 및 손가락을 뒤로
젖히는 동작을 힘들어 합니다.
- 대부분 보존적 치료로 호전되며 부목 등으로 보호하면서 아픈 상지를 과하게 사용하지 않으면 통증을 줄일 수 있습니다.
- 일단 증상이 호전되면 근육 강화 운동을 시행해 재발을
방지해야 합니다.
- 스테로이드 주사 치료 및 보존적 치료 후에도 동통이 지속되는 환자에게는 관절경 수술을 통하여 염증 조직을 제거하게
됩니다.
팔꿈치 관절염
- 팔에 무리를 주는 직업에서 주로 발생하는데, 다른 원인 없이 팔을 펴거나 구부릴 때, 관절의 운동범위는
어느 정도만 구축되면서 주로 통증을 느끼게 되는 특징이 있습니다.
- 팔꿈치 퇴행성 관절염은 X-선 검사로 진단됩니다.
- 류마티스, 외상성 관절염의 치료는 약물, 운동치료가 가장 중요합니다.
- 그러나, 심하지 않은 증상이 계속될 때는 관절경 수술로써 통증을 유발하는 골, 연골, 활액막을 제거, 재생시키고
관절을 매끄럽게 함으로써 만족한 결과를 얻게 됩니다.
팔꿈치 관절경직
- 각종 외상 후유증으로 인한 경우가 많으며, 그 외 관절염, 화상 반흔 구축 그리고 장기간의 외고정 후에
일어날 수 있습니다.
- 일단 강직이 발생하면, 원인을 제거해도 다른 조직의 이차적인 변화로 인해 결과가 만족스럽지 않기 때문에,
가능한 빨리 원인을 치료해야 합니다.
- 수술은 팔꿈치 관절의 운동 범위가 줄어들어 기능적이지 못할 때, 관절경 수술 등이 시술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