어깨·상지관절

석회성 건염
어깨 관절의 회전근개(힘줄)에 석회성 물질이 생겨서 심한 통증을 일으키는 질환
- 흔히 오십견으로 생각하고 병원을 찾았다가 석회성 건염으로 진단받는 경우도 많습니다.
- 석회의 크기, 위치 등은 일반적인 X-ray로 알 수 있으나, 회전근개의 상태를
정확히 알기 위해서는 MRI촬영을 시행하는 것이 좋습니다.
- 석회성 건염은 시간이 지나면 석회가 굳어져 힘줄에 염증을 일으킬 수
있습니다.
- 심하지 않은 석회성 건염은 물리, 약물 치료, 체외충격파 치료를 병행하면
호전됩니다.
- 하지만 일상생활을 못할 정도로 증상이 심하면 수술을 하는 것이 좋으며,
일반적으로 관절경 수술을 통해 석회를 제거합니다.

석회성 건염의 모식도

석회성 건염의 X-ray

석회성 건염의 관절경적 사진
어깨 불안정성
- 어깨관절은 관절낭 주위의 강력한 인대와 회전력을 지닌 회전근개로 싸여 있고, 이들의 끊임 없는 긴장과 수축으로 안정성을 유지하게 됩니다.
- 그러나 이러한 기능이 어떠한 이유에든 망가지게 되면 불안정성이 유발되어
통증을 느끼기도 하고 습관성 탈구에 대한 불안감을 갖게 됩니다.
- 어깨관절 탈구 및 불안정성은 우리 몸 전체에서 50%를 차지하고 있으며,
전방탈구 및 불안정성이 이 중 85%를 차지하고 있어 상당히 자주 접하게 되는 질환입니다.
- 연령층은 대개 20~30대이며, 스포츠 문화가 발달되면서 날로 증가추세에 있습니다.
- 치료는 진단에 따라 자가물리치료 등 비수술적 요법과 내시경수술 및 개방술 등의 수술을 시행하며, 수술 후 운동범위는 많은 호전을 보이게 됩니다.
- 그러나 치료시기가 늦어지면 연골뿐 아니라 뼈도 손상되고 후유증으로 어깨에 관절염이 생겨 수술 후에
재발의 가능성이 높고 만성적 통증이 발생 할 수 있습니다.

관절막 파열 및 관절경적 봉합술 후 사진